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디딤돌·버팀목 대출금리 조정! 지방 미분양 주택 구입 시 혜택까지

by 경제톡 2025. 2. 28.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주택도시기금의 디딤돌·버팀목 대출금리 조정 소식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지난 23일, 국토교통부는 주택도시기금의 구입(디딤돌)·전세자금(버팀목) 대출금리를 일부 인상하면서도, 지역별 시장 상황을 고려해 지방의 미분양 주택을 구입하는 경우에는 금리를 낮추기로 했어요. 이번 조치는 3월 24일부터 적용될 예정이에요.

디딤돌·버팀목 대출금리 조정

디딤돌·버팀목 대출이란?

먼저, 디딤돌·버팀목 대출에 대해 간단히 설명해드릴게요.

  • 디딤돌 대출: 무주택 서민과 신혼부부가 내 집을 마련할 수 있도록 저금리로 지원하는 주택 구입 자금 대출이에요.
  • 버팀목 대출: 전세 자금이 필요한 무주택 서민과 신혼부부를 위해 저리로 지원하는 전세자금 대출이에요.

기금대출은 무주택 서민들의 주거 안정을 지원하기 위한 저금리 대출 상품이에요. 하지만 최근 2~3년 사이에 시중금리 대비 기금대출 금리 차이가 커졌고, 안정적인 기금 운용과 대출 쏠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금리 조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어요.

 

어떻게 바뀌나요?

이번 개편에서는 부담을 최소화하면서도 현실적인 조정을 위해 몇 가지 중요한 변화가 생겼어요.

1. 금리 소폭 인상 (0.2%p)

기금대출 금리는 시중금리와 일정한 차이를 유지해야 하지만 최근 격차가 커지면서 조정이 필요했어요. 이에 따라 금리를 소폭 인상(0.2%p)하게 되었어요. 하지만 지역별 시장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지방은 이번 인상에서 제외된답니다.

2. 지방 미분양 주택 구입 시 금리 인하 (0.2%p)

지방의 경우, 미분양 주택이 늘어나면서 주택 시장이 위축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어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지방에서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을 구입하는 경우 금리를 0.2%p 인하해 부담을 덜어줄 예정이에요.

3. 우대금리 상한·기한 설정

기존에는 다양한 우대금리를 적용해 최저 1%대까지 금리가 낮아지다 보니, 시중금리와의 차이가 너무 커지는 문제가 있었어요. 이를 조정하기 위해 앞으로는 우대금리에 상한(0.5%p)과 적용 기한(자금별 4~5년)을 설정할 예정이에요.

4. 새로운 금리 방식 도입

기존의 금리 방식 외에도 소비자의 선택권을 넓히기 위해 혼합형 금리(10년 고정 후 변동)가 새롭게 추가돼요. 적용 금리는 방식별로 차등화되며, 다음과 같은 가산 금리가 적용될 예정이에요.

  • 만기 고정형: +0.3%p
  • 혼합형 (10년 고정 후 변동): +0.2%p
  • 5년 단위 변동형: +0.1%p

이번 개편안은 유예기간을 거쳐 3월 24일 이후 신청분부터 적용될 예정이에요.

 

청년들을 위한 주택드림 대출도 출시!

한편, 청년들의 내 집 마련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새로운 대출 상품도 출시돼요!

청년 주택드림 대출은 주택드림 청약 통장을 1년 이상 유지하고 1,000만 원 이상 납입한 청년들이 신규 분양을 받을 경우, 잔금 부담을 줄여주는 대출 상품이에요. 이 상품은 다음 달 말에 출시될 예정이라, 청약을 준비 중인 청년들에게는 반가운 소식이 될 것 같아요.

 

마무리

이번 디딤돌·버팀목 대출금리 조정은 시중금리와의 차이를 조정하면서도, 지방 미분양 주택 시장 활성화를 위한 지원책이 포함된 것이 특징이에요. 또한, 청년 주택드림 대출 출시로 청년층의 내 집 마련 부담도 줄어들 것으로 기대돼요.

앞으로도 이런 정책 변화가 나의 주거 계획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꼼꼼히 살펴보면서, 좋은 기회를 잘 활용하시길 바라요! 

 

 

 

KB국민은행, 디딤돌 대출 한도제한 적용시점 연기

KB국민은행이 최근 실시한 디딤돌 대출 한도제한 조치의 적용시점을 연기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는 실수요자들의 강력한 비판과 국회의 문제 제기에 따른 조치입니다. 1. KB 디딤돌대출 한도제

global-economic.tistory.com

 

 

[2024년 디딤돌대출 완벽 가이드] 12월부터 달라지는 모든 것

안녕하세요! 내 집 마련을 꿈꾸시는 분들에게 꼭 필요한 디딤돌대출이 12월부터 크게 바뀐다는 소식, 들어보셨나요? 오늘은 변경되는 내용을 하나하나 자세히 살펴보면서, 실제 내 상황에 어떻

global-economic.tistory.com